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24절기 : 춘분과 청명의 절기 이야기!

by HE스토리 2023. 1. 29.
728x90
반응형

24 절기 춘분과 청명의 절기 이야기! 네 번째 절기는 춘분! 벌써 이름만 들어도 봄의 이름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절기는 청명! 하늘이 맑아진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강한 추위가 찾아올 때는 겨울이 끝나지 않을 것처럼 매서운 추위가 우리의 생각과 마음까지 잠시 지배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4번째 절기:춘분春分

▣춘분은 3월 21일.

춘분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 낮과 밤의 같아지는 때를 이야기한다. 지금까지 밤이 길었었다면 춘분의 시점이 지나면서 점점 낮이 길어진다는 이야기이다. 영어로는 Spring equinox라고도 한다.

[라틴어로 '같다'는 뜻인 aequus '밤'이라는 뜻의 nox를 합쳐서 만들었다.]

예전에는 춘분 이후부터는 농가에서 봄보리를 갈고 춘경을 하며 돌담이나 흙담을 고치고 봄나물을 캐 먹었다. 옛날에는 춘분을 '나이떡 먹는 날'이라 부르며 가족이 모여서 송편과 비슷한 '나이떡'을 먹었는데, 아이들은 작게 빚고 어른들은 크게 빚어 자신의 나이만큼 먹었다고 한다.

봄채소

 

춘분의 속신으로는 이날 날씨를 보아 그 해의 농사의 풍흉과 수한을 점치기도 한다고 한다. 춘분에 비가 오면 병자가 드물다고 하고, 이날은 어두워 해가 보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해가 뜰 때 정동 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에 적당하여 보리 풍년이 들고, 만약 청명하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열병이 많다고 전해온다.

 

동풍이 불면 보리값이 내리고 보리 풍년이 들며, 서풍이 불면 보리가 귀하며, 남풍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고 오월 뒤에는 가물며,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하다고 하였다.

보리

 

▣춘분 관련 속담

1. 삼월 바람에 설 늙은이 얼어 죽는다.

2. 꽃샘. 잎샘에 반늙은이 얼어 죽는다.

춘분 관련한 속담은 실제 얼어 죽는다는 것이 아니라, 추위를 타는 사람을 놀리는 뜻으로 하는 말이다.

 

 

 

5번째 절기:청명淸明

▣청명은 4월 5일.

청명은 24 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이다. 청명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태양의 황경 15도에 있을 때이다. 청명은 양력으로 4월 5일 무렵에 든다. 청명조의 기록에 따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 말했다

 

청명은 한식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이 된다. 농경 사회에서는 이날을 기다려 농사 준비 작업에 들어간다. 이쯤에는 비가 서너 차례 땅을 적시기 때문이다. 청명은 생명력이 왕성한 절기를 말한다. 농가에서는 이날부터 봄갈이가 시작된다. 또는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묏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다.

 

▣춘분 관련 속담

1.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청명에는 부지깽이와 같이 생명력이 다한 나무를 꽂아도 다시 살아난다는 뜻으로, 청명에 심으면 무엇이든 잘 자란다는 말.

2.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한식과 청명은 보통 하루 사이이므로 하루빨리 죽으나 늦게 죽으나 별 차이가 없음을 일컫는 속담.

 

식목일

▣식목일 4월 5일

식목일은 나무를 심고 가꾸도록 권장하는 국가에서 정한 나무 심는 날이다. 1949년 대통령령으로 이날을 식목일로 지정했으며 당시에는 공휴일이었다. 이후 1960년 3월 15일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현시점으로 식목일은 나무를 심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유는 지구 온난화의 이유로 나무를 심으려면 날을 앞당겨야 한다는 이유이다. 2007년 의견을 모았으나 예전부터 내려오는 4월 5일의 상징성으로 유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6번째 절기:곡우(穀雨)

▣곡우는 4월 20일

곡우는 24 절기는 여섯 번째 절기에 들어간다. 여섯 번째 절기는 봄의 마지막 절기이다.  곡우는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으며,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곡우라는 이름은 곡식을 뿌린다는 뜻으로 봄철을 맞이하여 새싹과 새순이 돋아나고 농번기를 맞이하여 곡물재배가 성한 시기이며 농촌에서 농사의 시작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절기이자 봄비가 내려서 곡식들이 윤택해진다는 뜻이 있다.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못자리는 벼를 심을 준비를 한다는 뜻이다. 

지역에 따라 이 무렵에 벼를 심은 지역도 있다.  "곡우에는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있다.

 

북한에서는 이 무렵 용흥강으로 숭어 떼가 올라온다. 숭어 같은 물고기들이 산란기가 되어 올라오는데, 강변에 모인 사람들은 어부가 잡은 생선으로 회나 찌개를 만들어 술을 마시며 하루를 즐긴다. 이때 강변 사람들은 물고기가 오르는 조만을 보고 그 해 절기의 이르고 늦은 것을 예측하기도 한다.

 

▣곡우 때 심는 곡식

곡우 때 심는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불릴 만큼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콩은 비슷해 보이지만 종류별로 영양 성분이 다르다.

 

곡우 때 심는 대표적인 작물로는 옥수수가 있다.

 

곡우 때 땅콩도 심는다.

 

 

4대 명절 중 하나였던 한식과 단오 이야기!

옛날에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였다. 4대 명절 중 하나였는데, 지금은 한식과 단오는 예전보다 그 행사가 퇴색해지고 지금은 공휴일도 아니다 보니 무슨 날인지 크

the-story1.tistory.com

 

HESTORY

책. 좋은 글을 담는 blog 생활정보. 금융정보를 담는 blog

the-story1.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