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환자들에게는 그들의 생사를 결정하는 중요하고도 급박한 시간이다. 뉴스에서 한 번씩 볼 수 있는 심정지 발생 시 대응에 따라 환자의 미래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 응급상황에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Question & Topic
1. 응급 상황에서도 재해자에게 응급처치에 대한 동의를 구해야 할까요?
- 동료들과 휴게실에서 이야기를 나누던 중, 신입기사 한 명이 심장을 부여잡고 쓰러졌다. 심폐소생술을 한 뒤 급히 명원으로 이송했는데, 응급처치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졌다며 보상을 요구했다.
- 응급상황에서 재해자에 세 응급처치에 대한 동의를 구해야 할까?
2. 심폐 소생술은 어떠한 경우에 시행해야 할까? 또 했다면 언제까지 해야 할까?
- 매장에서 함께 일하던 분이 쓰러져 가슴을 쓸어내린 적이 있다. 그분이 쓰러진 와중에 누구는 심폐 소생술을 해야 한다, 아니다 호흡이 있으니 하면 안 된다의 의견이 분분 하였다. 이때 심폐 소생술은 어떤 경우 시행해야 하는 것일까?
- 심폐소생술을 전부 시행했을 때와의 생존율 차이가 크지 않아 일반인의 경우 가슴압박 소생술을 권장한다.
▣심폐소생술
3. 상황에 따라 하지 말아야 할 응급처치법이 있나?
▣지혈방법
지혈 방법에는 직접압박, 동맥압박, 지혈대 사용이 있다.
- 지혈 전 장갑 등을 사용하여 감염을 예방
- 지혈 후 손을 반드시 씻어 소독을 한다.
- 상처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골절
외부의 힘에 의해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로 흔히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것.
- 탈구:관절에서 뼈가 정상위치를 이탈하거나 분리된 상태
- 염좌:인대 등의 관절조직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파열
- 안정->고정->냉찜질->올리기
안정 | 고정 | 냉 찜질 | 올리기 |
환자안정 출혈이 있다면 안정 시킨 뒤 지혈 |
통증 감소와 조직 손상 방지를 위해 부목을 고정 |
찬 물이나 얼음으로 얼음찜질 |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위치 |
▣골절 부위별 응급처치
- 척추:환자를 눕힌 자세에서 가급적 전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빨리 전문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이송
- 팔:상처 입은 팔은 가슴에 대고 지지하며, 사이에 부드러운 천 등을 끼워 줌
- 골반:환자를 눕힌 자세에서 가급적 전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 전문병원으로 이송
- 발: 아픈 발을 들어 발바닥에 천을 대고 부목을 받쳐준 후 고정
- 쇄골: 환자를 앉히고, 손상된 팔을 가슴을 지나 반대쪽 어깨에 가게 해서 넓은 천으로 판을 가슴에 고정
▣찔림
찔림은 가시, 녹슨 못, 칼이나 유리를 말한다
가시 | 끝을 밀어 피부 위로 노출이 된다면 소독한 족집게를 사용해 제거한다. |
녹슨못 | 파상풍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의사의 진찰을 받아 파상품 주사를 맞아야 한다. |
칼이나 유리 | 절대 뽑으려 하지 말고 환자를 안정시킨 후 타월 등으로 상처 부위를 고정시키고 의료기관에 후송 |
▣절단
- 압박붕대로 지혈하여 과다 출혈을 방지한다
- 절단부위는 심장보다 높게 유지한다
- 비닐로 두 번 싼 후 얼음물에 담가 보관한다.
※주의사항
- 절단 부위를 직접 얼음에 담그지 말 것 - 조직 손상의 위험이 있음
- 소독 및 수분 공급을 위한 알코올사용 금지. - 혈관을 손상시킴
응급조치 후에는 가능한 빠른 시간 안에 접합수술이 가능한 전문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한다.
▣질식
▣화상
화상은 과도한 열, 전기, 화학물질 등에 의해 피부조직이 손산 된 것을 말한다.
- 피부의 표피층이 파괴되어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 신체로부터 나오는 체액이 손실될 수 있다.
-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열화상 | 화상 부위를 차갑게 해주어 쇼크를 예방 옷과 장신구 등은 제거하며 감염 예방을 위해 화상 부위에 드레싱 조치. |
전기화상 | 전원을 차단한 뒤, 구조요청 (119 신고) 심정지 상황의 경우 심폐소생술 등 구조조치를 하고 화상처치 실시 후 화상전문병원으로 후 |
화학화상 | 손상부위를 흐르는 물로 씻어 줌 눈에 들어간 경우 15분 이상 세척하고 손으로 만지지 못하게 함 사업장에서 화학물질에 누출된 경우, 세안시설 이용한다. |
응급처치의 목적
응급 상황은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언제나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 생명을 구한다
2. 손상의 악화를 방지하며, 장애를 경감한다.
3. 재해자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 회복을 돕기 위해 실시한다.
응급상황이 발생해도 망설이는 경우는 무엇 때문일까?
- 응급처치를 해서 잘못되면 어쩌지?
- 질병에 감염되지 않을까?
- 재해자의 상태를 알 수 없는 불확실성.
[선한 사마리아인 법]
선한 행동에 대해 법은 그에 맞는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이 있다.
- 응급처치의 결과로 재산상 손해와 사상에 대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민사 책임과 상해에 대한 형사 책임을 지지 않으며, 사망에 대해서는 형사 책임을 감면해 주는 제도이다.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구비 등의 의무
지하철, 공항, 호텔, 공연
정리
일상생활에서 응급상황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일이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씩 들어는 봤지만, 막상 상황에 닥치는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스러울 수 있다. 어렴풋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또 다른 것이다. 응급상황에서의 대처는 재해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고 장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삶을 영위하며 빠른 회복을 돕는다는 것이다.
갑자기 지진이 발생 했을때 행동요령
뉴스에서 한 번씩 심심찮게 지진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지진은 먼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며, 우리나라는 체감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 그러나 해가 지날수록 자연환경에 의한 기후변화가 점
the-story1.tistory.com
다이어트에 빠질 수 없는 이것의 정체!
내일부터 하는 것은 바로 다이어트입니다. 절대 오늘부터 할 수 없는 다이어트에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이것은 '닭 가슴살'입니다. 닭 가슴살 없이는 다이어트 이야기가 되지 않습니다. 물론 다양
the-story1.tistory.com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에 빠질 수 없는 이것의 정체! (0) | 2023.04.29 |
---|---|
비타민이 부족하면 몸에서 어떤 신호를 보낼까? (0) | 2023.04.27 |
나에게 어떤 우유가 잘 맞을까? 우유 차이점! (0) | 2023.04.26 |
아르기닌 어떤 것이고 어떤 도움이 될까? (0) | 2023.04.26 |
남성들의 말 못할 고민 전립선 관리! (0) | 2023.04.23 |
댓글